AI, 자율주행을 탑재하면서 새로운 기술기업으로 변모하는 기업_Deere & Company [DE(존디어)]
1. Who?
얼마전 열렸던, CES2025에서
전통산업인 농업분야의
세계 제1기업이 자율주행이라는
기술을 선보이며 세간의 관심을
다시금 끌어모았다.
물론 해당 기업이
자율주행 트랙터 1세대를
최초로 선보인 것은
지금보다 3년전인 2022년인데
지금은 상용화의 단계에서
자율주행 트랙터 2세대와
덤프트럭을 선보였다고 한다.
AI/자율주행의 기술이
전통 산업(농업)을 만나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는
'농업계의 테슬라'라고 불리우는
기업을 상세하게 들여다보는
오늘의 Posting
"Deere & Company"
![](https://blog.kakaocdn.net/dn/O63Ec/btsL4GBcfL8/uXcdbfpZniFKYE1okvfYmk/img.png)
[출처-DE's Earning Report]
▣ 6M 차트 : +28.19%
![](https://blog.kakaocdn.net/dn/cYDDYh/btsL5By3QSZ/19K5AcWsT6XESEugAtMTp0/img.png)
[출처-Yahoo Finance]
▣ 5Y 차트 : +195.80%
![](https://blog.kakaocdn.net/dn/b6hXtJ/btsL53B4VcX/bjOrQCHWm0pTKGGYpfCtOK/img.png)
[출처-Yahoo Finance]
▣ ALL 차트 : +17,701.46%
![](https://blog.kakaocdn.net/dn/Lnnzr/btsL3o2z4zd/dfWX8Mx20WAOY4hsZZgETK/img.png)
[출처-Yahoo Finance]
☞ 2020년부터 기존의 John Deere와는 전혀 다른 기업으로 변모하면서, 주가는 완전히 다른 체급으로 월장하였다. 2017년 인공지능 스타트업 Blue River를 인수하면서 말 그대로 '사이어인계'로 변신에 성공한 DE이다. 하지만 이후 2022년부터는 약간의 횡보장이 이어지고 있는데 과연 자율주행 트랙터가 어떤 모멘텀으로 작용하게 될지 관심갖고 보면 좋을 것 같다.
2020년으로 돌아가서 매수하고 싶다. 농기계관련 기업이라고 무시해서는 안되는 기업이었음.
![](https://blog.kakaocdn.net/dn/edJTxG/btsL3scLBLe/2KsMiLU5LmEZ5yewUmo1v0/img.png)
[출처-DE's Presentation]
Deere & Company [DE]
세계적인 중장비, 농기계 제조 회사
John Deere 브랜드 전개
농기계의 '테슬라'
- 창립 : 1837년 미국
- 본사 : 미국 일리노이주 몰린
- 거래소 : NYSE
- 상장일 : 1933년
¶ 주요 사업
┌ 기존 : 농기계/산업용기계(중장비) 등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후
- 스마트 농업 솔루션(작물정보 / 파종시기 등)
- 자율운전기술(트랙터)
- 친환경 에너지, 효율 장비
- AI 머신러닝을 통한 농업 생산성 향상
→ 단순 농기계 제조업체에서 농업기술 전반에 걸친 전문기업으로 변모
![](https://blog.kakaocdn.net/dn/dgn2iQ/btsL49iyp60/eUY06ymqTTeZkzRhpDvoHk/img.png)
[출처-DE's Homepage]
☞ 주요 매출은 규모가 큰 경작지의 농산품 수확이 전체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작농 관련 상품군이 전체 매출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지역으로는 미국과 캐나다 중심의 북미가 66%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의 농기계만을 벗어나 건설 장비, 도로포장 솔루션 등에서도 매출이 증가하고 있음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https://blog.kakaocdn.net/dn/rBIdh/btsL4dTFL0J/pCMCikXg9BbnKnOr02uLA0/img.png)
[출처-DE's Earning Report]
![](https://blog.kakaocdn.net/dn/sUmJu/btsL5CdDQjd/eCxCR1brDKJKZvSeQlcPN1/img.png)
[출처-DE's Earning Report]
¶ 고려해야 할 점
- 트럼프의 정책
- 기존 농가의 자율주행 트렉터 수요 전환 가능성
- 농업 경기 사이클
- 금리 연동에 민감(금리인하 시 매출 증가 가능)
![](https://blog.kakaocdn.net/dn/bJqRep/btsL50eheEF/TEw9MwQq8UTyZpKy9K5Zs1/img.png)
[출처-연합뉴스]
▣ 야후파이낸스에서는 DE에 대해
현재 주가 보다 -0.6% 낮은 수준인
473.07$이 적정 주가라고 본다.
투자의견 역시 Hold
![](https://blog.kakaocdn.net/dn/nIl3B/btsL3gcv0or/BCuzUKu45v4JtMkGQfREK1/img.png)
[출처-Yahoo Finance]
이에 반해,
보수적인 평가를 하는 Simply Wall st는
Yahoo 보다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DE의 적정주가를 $678.49로
지금의 주가는 29.8% 저평가
되어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UqSLF/btsL5u7Po44/xUJsiBoHPZpHwPBgn8dMO1/img.png)
[출처-Simply Wall st]
※ 모든 투자의 책임은 개인에게 있음 주의
2. Valuation
DE 주요지표
1) 시총은 약 190조 (130.73B $)
2) PER은 18.73 / PBR은 5.72
3) Profit Margin(이익률) 14.70%, ROE 35.48%
![](https://blog.kakaocdn.net/dn/M8zd3/btsL3Xcu7iW/T8ugMN6egOFC8ctzTK07M0/img.png)
[출처-Yahoo Finance]
![](https://blog.kakaocdn.net/dn/df8SWr/btsL2R4RKY1/qNhSeRVcJlJcgK25EaDZQ1/img.png)
[출처-Yahoo Finance]
DE PER
P/E Ratio : 이익 VS 주가
▷ DE(디어앤컴퍼니)의 PER은 동종업계의 평균 23.5 / 산업평균 23.5인 것에 비해 낮은 18.3이다. 나스닥이 평균 30정도의 PER인 것과 비교해서도 DE의 주가는 부담되는 수준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만큼 이익(EPS)도 창출하는 기업으로 미래에 대한 성장성만 더하여 진다면 매수하기 좋은 가격대라는 생각이 든다.
![](https://blog.kakaocdn.net/dn/FvDEV/btsL5NF5jCt/zULCk60AuQjM7HhK7knsHK/img.png)
[출처-Simply Wall st]
![](https://blog.kakaocdn.net/dn/OibHW/btsL3SI0Vxm/30pxunmae7nvnK3GVA3JKk/img.png)
[출처-Simply Wall st]
DE 실적
▷DE(디어앤컴퍼니)는 매출이 분기별로 편차는 있지만 꾸준하게 가이던스 All Beat의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다가오는 2월 13일 `24.4Q 실적을 통해 2024년 결산을 관심갖고 살펴봐야겠다.
![](https://blog.kakaocdn.net/dn/ccqZ0D/btsL4RCqNdy/BpU64KNwLCTftqJWbyW8yK/img.png)
[출처-Yahoo Finance]
![](https://blog.kakaocdn.net/dn/b6AMQA/btsL48xcd2u/krT9x6PqA4CD7AqVUKXlFK/img.png)
[출처-Seeking Alpha]
![](https://blog.kakaocdn.net/dn/blb1i2/btsL3zCVWa0/Etzmp3eQzC8doueA9uC0Z0/img.png)
[출처-Seeking Alpha]
☞ 미국 내 농업경기 둔화, 금리인상, 중고장비 재고 증가 등의 이유로 2024년 매출은 전녀보다 두자릿수 축소되면서 긍정적으로 볼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한 DE이다. 기존 농업 경기, 산업에만 의존해서는 지속해서 긍정적인 전망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타개하기 위해 DE는 AI와 자율주행을 더하여 기술기업으로 변모하려는 것이다.
DE 중장기 실적 전망
▷EPS는 바닥을 다지고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나, 지속하여 성장하는 우상향을 전망하지는 못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기술기업으로 변모하면서 새로운 이윤을 창출한다고 하여도, 기본적인 산업자체가 농업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경기 사이클 영향 높음) 농기계/장비의 구매의 교체 기간을 감안하였을 때 꾸준히 성장하기에는 어렵다는 판단이 더한 것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coFVEj/btsL5z2iSCX/8rUM6sMmA3AACqqZ2ldMNK/img.png)
[출처-Seeking Alpha]
![](https://blog.kakaocdn.net/dn/tgQMo/btsL4x5rAj8/pADKOhNWMrimO0iQFfyTsK/img.png)
[출처-Simply Wall st]
☞ Simply Wll st에서는 DE에 대해 `24년 부터 이어지는 농업경기 둔화에 따른 매출하락은 2025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며, 2026년이 되어서 반등하고 우상향하리라 전망하고 있다.
그렇다면 매수의 시점은?
DE 동종업계
▷ 역시 세계적인 농업 기계 기업인 DE의 매출은 동종업계 타 기업과 약 2배정도 차이나는 외형을 보여주며 산업을 리딩하고 있다. 이에 맞춰 주가퍼포먼스도 흐름이 좋은 DE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wwfOZ/btsL52DaLIn/kKvLc3uGezsCNLY7swFBCk/img.png)
[출처-Seeking Alpha]
![](https://blog.kakaocdn.net/dn/yUceT/btsL3AohOlp/50KfXEYqOtQA8L8NdALjW0/img.png)
[출처-Seeking Alpha]
DE 배당성향
▷ 배당률 : 1.35%
└ 섹터 평균 배당률 : 1.46%
▷ 5년 평균 배당 성장률 : 14.68%
└ 섹터 5년 평균 배당률 : 6.60%
▷ 배당 성장 기간 : 4년
![](https://blog.kakaocdn.net/dn/bypy5u/btsL5utesfu/gHo1kDFAvDnUv7yObfkT9K/img.png)
[출처-Seeking Alpha]
![](https://blog.kakaocdn.net/dn/bJFMPA/btsL4bO5ZX0/NmXDtUWmDFhW70igPm2yi0/img.png)
[출처-Seeking Alpha]
![](https://blog.kakaocdn.net/dn/d85AxO/btsL3lEUvmq/VKIUJLTKHSkcfcXYB21oc1/img.png)
[출처-DE's Homepage]
3. 추가 상념
John Deere는
Startup Collaborator 프로그램을 통해
미래 지향적인 스타트업과 협력을
통해 기술진보를 이어가고 있다.
2025년 Startup Collaborator 프로그램에는
아래의 6개 기업이 선정되었다.
-Array Labs : 3D 이미징 설계 별자리구축 우주 기술
-Landscan : 토양 원격 감지 신호 융합(토지분석)
-Lidwave : 첨단자동화. 매핑 및 검사
-Presien : 작업현장 생산성 관련 AI 기업
-ReSim : 시물레이션, 재생평가 자동화 AI 테스트
-Witricity : 자율자동차 무선충전 기술
John Deere 관련 내용은 아래 영상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
John Deere의 행보를 보면서 드는 생각은
'오래 멀리 갈 거면 함께 가라'는 말이다.
전통산업에서 180년 이상 유구한 역사를 지닌 기업이 Digital Transformation 하기 쉬웠을까? 전세계 농업산업 분야에서 1위를 하는 기업이 선진 기술을 받아들이기에는 상당한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했으리라 판단된다.
이른바. 내려놓음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작디작은 스타트업들에게 협력하자고 손을 내밀고
전혀 생소한 영역의 AI, 자율주행 기술 기업들을
인수, 내재화 하면서 자신의 체질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예를들면,
공부만 잘하는 전교 1등 A가,
게임을 잘하는 B에게
SNS 잘하는 C에게
머리를 조아리면서 어떻게 하는지 배우는 것이다.
지금의 세계는 의외로
게임을 잘하는 사람이,
SNS를 잘하는 사람이
크게 성공한다는 것을 깨달아
공부를 잘하는 동시에 팔방미인으로
자신의 가치를 더 높이려는 것이다.
다시 돌아와
우리의 전통기업들은 어떻게 변모하고 있을까?
또 우리의 삶에서
새로운 것들을 어렵고 귀찮다는 이유로
배척하고만 있지는 않은가
나 스스로를 반성하게 되는 순간이다.
AI 플랫폼을 깔아야하는 이유이다.
ChatGPT도 그렇고
Perplexity도 그렇고
DeepSeek도 그렇고
귀찮다고 네이버를 검색하고
구글에서 검색하고 있다면
그렇게 도태되고 있는 것이라는
참, 요즘 친구들은 유투브에서 검색한다는데
유투브 채널도 다양화 해야한다.
나의 과거 알고리즘에 빠져서 허우적 대기 전에.
당신의 유투브 알고리즘은 무엇이?
-END-
※Yahoo Finance, Seeking alpha, Simply Wall st에서 data 발췌